현재 국내에 많은 이메일 업체가 POP3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한 때 스팸 방지를 위해서 POP3를 유료로 제공했던 업체들도 점차 무료로 유저들에게 공개한 만큼 많은 분들이 아웃룩이나 썬더버드와 같은 메일 클라이언트를 통해 POP3/SMTP 설정 후 사용을 하고자 하실겁니다. 그런데 이 설정값이 서비스 업체들마다 다르고 해서 이번에 제가 사용 중인 메일 서비스 업체 중 POP3/SMTP를 제공하는 업체들을 선정해서 설정 방법을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언급 할 업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0. Live (POP3는 유료지만 Live Mail에서 기본 지원합니다.)
1. Gmail (IMAP4 도 지원합니다.)
2. Naver (으뜸 사용자만 POP3/SMTP 지원합니다.)
3. Daum (최근에 서비스 시작하였습니다.)
4. Yahoo (야후 코리아는 무료입니다.)
5. Nate (POP3만 지원합니다. SMTP 지원 안합니다.)
6. Hanafos (하나포스 사용자들에게는 무료 지원합니다)
Live Mail(핫메일)은 POP3 지원이 아니지만 Windows Live Mail 에서 기본 지원합니다. 이메일과 비밀번호만 적은 뒤에 확인 누르면 됩니다. 수동으로 메일 설정 부분 체크 하지 않고 완료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본격적으로 메일 설정 들어가보겠습니다.
Gmail
우선 Gmail 환경설정에서 POP3/SMTP 활성화를 시켜줘야 합니다.
위에 나온 이미지 순서대로 설정하시면 됩니다. 빨간 상자 부분 주의하시면서 진행하시면 어렵지 않게 설정을 마칠 수 있으실꺼예요. 설마 이메일까지 똑같이 집어넣으시지는 않으셨겠죠? 자신의 계정 이메일과 비밀번호 치셔야 합니다. ^^;
Naver
네이버는 으뜸 사용자만 사용 가능합니다. 으뜸 사용자는 자체 메일 사용량 또는 지식인등을 통해 모은 포인트를 통해 되실 수 있으니 조그만 노력하시면 POP3/SMTP 사용 하실 수 있을겁니다.
수동 편집 상태에서 보그처럼 입력하시면 됩니다. 주의하실 점은 SSL 부분을 체크 안 한다는겁니다.
Daum
다음은 올해들어 POP3/SMTP를 공개한 걸로 알고 있습니다. 다음도 별도의 옵션이 있습니다.
빨간 색 상자를 통해 통해 들어가셔서 이미지 참고해 설정하시면 됩니다. 이미지를 붙여놓으니깐 편해서 좋네요. 별 다른 설명도 필요없고.. ^^
Yahoo
야후같은 경우 유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인데 야후 코리아에서는 무료로 제공해주고 있습니다. 거기에다가 최근에 ymail, rocketmail.com 도메인이 추가되면서 유니크한 이메일을 만들고 싶으신 분들에게 좋은 기회가 될 듯 싶습니다. 야후 역시 별도의 설정을 해주어야 합니다.
주의하실 점이 있는데 야후 계정은 야후닷컴이나 야후 코리아에서 만든 계정에 따라 주소를 다르게 해주어야 합니다. 보통 야후 코리아에서 아이디를 만드셨을테니깐 이미지와 같이 설정해주시면 됩니다. 하지만 전 야후닷컴에서 만든 계정인지라 yahoo.co.kr로 하면 오류가 발생하게 됩니다. 저 처럼 야후닷컴에서 만든 계정일 경우에는 yahoo.co.kr 이 아닌 yahoo.com 으로 해주셔야 합니다. 즉, pop.mail.yahoo.com / smtp.mail.yahoo.com 으로 해주셔야 하는거죠. 이 부분만 주의해주시면 설정은 어렵지 않으실겁니다.
Nate
네이트는 POP3만 지원하므로 SMTP 부분은 타 서비스를 이용하셔야 합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Gmail의 SMTP로 등록하였습니다.
참고로 Nate 아이디인 경우에만 위와 같이 ‘mail.nate.com’을 쓰고 이전 라이코스 계정이나 넷츠고 계정으로 로그인 하시는 분은 이 부분을 변경해주셔야 합니다. 라이코스 계정 쓰시는 분은 ‘pop.lycos.co.kr’ 로 넷츠고 계정 쓰시는 분은 ‘mail.netsgo.com’ 으로 변경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보시다시피 SSL의 체크는 지워주시면 됩니다. SMTP의 경우 Gmail 설정과 동일하게 하였습니다.
Hanafos
초고속 인터넷을 하나포스 사용하신 다면 하나포스 계정 역시 무료로 사용 가능합니다.
이미지처럼 SSL 체크 지우시고 설정하시면 됩니다.
위와 같이 각 메일의 설정을 마친 후 Windows Live Mail 의 목록 모습니다.
보시는 것 처럼 숫자로 이름 변경해서 정렬해주시면 보다 좋게 관리 하실 수 있을겁니다. 이렇게 메일 클라이언트로 가져와도 기본 설정은 서버 메일 보관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 부분은 각 계정 설정의 마지막 탭에서 변경하실 수 있습니다. 요즘 메일 서비스의 용량은 다 기가단위에 무한 제공 서비스도 있는 만큼 굳이 지우실 필요 없으니 서버 보관을 체크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필터링을 이용해서 서버 내에서도 자동으로 필터링 되도록 관리하신다면 포맷등으로 인해 자료 유실이 되더라도 쉽게 찾을 수 있답니다. 그러니 메일 클라이언트를 사용하더라도 각 메일 서비스의 필터링등을 잘 활용하시는게 나중을 위해서라도 좋겠죠? 그러면 이 쯤에서 오늘 포스팅을 맞추도록 하겠습니다.
'Review >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inkFree Mobile : Netbook Edition 구경하기 (0) | 2008.11.18 |
---|---|
SafeUSB 사용기 (0) | 2008.11.18 |
키 맵핑 프로그램 - Sharpkeys (0) | 2008.11.18 |
유용한 포터블 프로그램 소개 (0) | 2008.11.18 |
Dropbox 사용해보기 (0) | 2008.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