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교육 때 알게 되어서 파일 첨부해서 올립니다.
 
자세한 사용법은 첨부된 파일에 다 있기때문에 간략한 사용법만 이미지 첨부해보았습니다.
 
우선 첨부 된 파일의 압축을 풀어 임의의 디렉토리에 저장해놓습니다.
그런 다음 메모장을 열어 TC로 만들 내역들을 입력해주고 저장해야 합니다. (압축 푼 곳과 같은 경로면 나중에 편합니다;)
처음으로 해야 할 일은 Subject를 최 상단에 탭 키를 이용해 분류해줍니다.
여기에서는 OS, SP, Ver, Local를 예로 들었습니다.
그런 후 각 줄마다 Subject에 맞게 탭 키로 분류해서 입력해주어야 합니다. (이미지 참고)
메모장은 탭 키로 해야하기때문에 불편하므로 엑셀을 이용해 표 작성 후 메모장에 붙여넣기 하시길 권해드립니다.
 

  
다 작성하셨다면 저장하시면 됩니다. 일반 TXT 확장자로 저장하시면 됩니다. 여기에서는 sample.txt로 저장하였습니다.
 
그 다음 커맨드에서 명령어를 이용해 사용하셔야 합니다. (요즘같은 윈도우 세대에 커맨드라니.. -_-;)
커맨드는 ‘윈도우키+R’ 또는 시작버튼을 눌러 실행을 작동시켜 나타나는 실행창에서 ‘cmd’라 입력하고 확인 누르시면 됩니다.
커맨드 창이 나타나면 일단 압축을 푼 디렉토리로 이동하셔야 합니다.
저 같은 경우 E:\Down\Pairs 라는 디렉토리이기때문에 아래와 같은 명령어로 이동하였습니다.
 
혹시나 하는 노파심에 명령어 잠깐 설명~!
파티션간 이동은 그냥 해당 파티션 명 입력하시면 이동 합니다. (ex. 아래처럼 C에서 E로 이동시 ‘E:’ 만 입력하면 됩니다)
그리고 해당 파티션 내 디렉토리 이동은 cd 명령어와 이동할 디렉토리를 적어주시면 됩니다.
단, 디렉토리명에 공백이 있다면(ex. Program Files) “” 로 묶어서 사용해주셔야 이동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디렉토리나 파일명 다 적기 힘들때는 앞의 몇 자 써주시고 Tab 키 누르면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예를 들어 Down 이라는 디렉토리를 적고자 할 때 D 만 입력하시고 Tab Key 누르면 해당 디렉토리에 있는 세부 디렉토리 중
D로 시작하는 가장 차순이 빠른 디렉토리가 자동 입력됩니다. 하나밖에 없다면 그 디렉토리가 선택되어지게 됩니다.
 
사용은 다음과 같이 합니다.
allpairs 프로그램 입력파일명 > 결과출력파일명
여기에서 ‘>’ 의 기능은 우측에 있는 파일명으로 파일을 생성하고 결과를 해당 파일에 저장하라는 의미입니다.
‘>’ 표시 없고 출력파일명도 안 적을 경우 현 커맨드창에 결과물이 출력되게 됩니다.
 

 
위와 같이 입력해서 정상적으로 결과물이 출력되었다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
보다시피 총 28개의 TC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Te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STC ‘2008 국제 SW 테스팅 컨퍼런스  (0) 2008.11.18
테스팅, 그 창조적 파괴의 중요성  (0) 2008.11.13
CTM Tool - CTE XL  (0) 2008.11.13
Pairwise Tool - PICT  (0) 2008.11.13

+ Recent posts